오행의 태과로 인한 변화
페이지 정보

본문
▣ 오행의 태과로 인한 변화
사주 명(命)에 어떠한 오행이 태과하여 균형을 잃으면 본래 그 오행의 기본 작용과는 전혀 다른 변화를 초래하는데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.
1) 생하는 오행의 태과로 인한 변화
① 목(木)의 변화
수(水)는 목(木)을 생(生)하지만 물(水)이 지나치게 많으면 나무(木)가 떠내려간다.
예시)
癸 甲 壬 壬 亥 子 子 戌 |
해설)
중동(仲冬)에 생(生)한 양목(陽木)이 수왕(水旺)하여 수다목표(水多木漂), 부목(腐木)의 명(命)이다. 즉, 홍수가 나면 나무가 뿌리 채 뽑혀 표류한다. 또는 화분에 물(水)을 필요이상으로 많이 주면 나무뿌리가 썩(腐)는다는 원리이다.
② 화(火)의 변화
목(木)은 화(火)를 생(生)하지만 나무(木)가 지나치게 많으면 불(火)이 꺼져버린다.
예시)
乙 丙 己 乙 未 寅 卯 卯 |
해설)
중춘(仲春)에 생(生)한 양화(陽火)가 삼 반합(卯未) 목국(木局)등 형성으로 목왕(木旺)하여 목다화식(木多火熄)의 명(命)이다. 즉, 나무는 불(火)을 생(生)하지만 모닥불에 많은 나무를 올려놓으면 불이 질식하여 꺼져 버린다는 원리이다.
③ 토(土)의 변화
화(火)는 토(土)를 생(生)하지만 태양(火)이 강렬하면 흙(土)은 거북이 등처럼 쩍쩍 갈라진다.
예시)
丙 戊 乙 丁 午 戌 巳 巳 |
해설)
맹하(孟夏)에 생(生)한 양토(陽土)가 삼 반합(午戌) 화국(火局)등 형성으로 화왕(火旺)하여 화다토척(火多土斥)의 명(命)이다. 즉, 불(火)은 토(土)를 생(生)하지만 화기(火氣)가 필요이상으로 왕성하면 토(土)가 거북이 등 모양처럼 갈라져 버린다는 원리이다.
④ 금(金)의 변화
토(土)는 금(金)을 생(生)하지만 흙(土)이 지나치게 많으면 금(金)이 흙속에 묻혀 빛을 잃는다.
예시)
己 辛 戊 己 丑 未 辰 未 |
해설)
계춘(季春)에 음금(陰金)으로 생(生)하여 일간을 제외한 모든 오행이 토(土)로 토왕(土旺)하여 토다매금(土多埋金)의 명(命)이다. 즉, 토(土)는 금(金)을 생(生)하지만 토기(土氣)가 필요이상으로 많으면 금(金)을 땅속 깊숙이 묻어버려 태양을 보고 광채를 뽐내야 하는 금(金)이 빛을 잃어 쓸모가 없어진다는 원리이다.
⑤ 수(水)의 변화
금(金)은 수(水)를 생(生)하지만 돌(金)이 지나치게 많으면 물(水)의 유속이 느려져 탁해진다.
예시)
辛 癸 甲 庚 酉 酉 申 申 |
해설)
맹추(孟秋)에 생(生)한 음수(陰水)가 금왕(金旺)하여 금다수탁(金多水濁)의 명(命)이다. 즉, 돌, 자갈, 왕모래 등의 금(金)은 하천의 물(水)을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필요이상으로 많으면 유속이 느려져 물(水)이 탁해진다는 원리이다.
2) 설하는 오행의 태과로 인한 변화
① 목(木)의 변화
목(木)이 도우는 화(火)가 지나치게 강렬하면 나무(木)는 숯이 된다.
예시)
庚 甲 丙 丁 午 辰 午 巳 |
해설)
중하(仲夏)에 생(生)한 양목(陽木)이 화왕(木旺)하여 화다목분(火多木焚)의 명(命)이다. 즉, 나무(木)는 화(火)가 자식이라 생(生)해야 하는데 불(火)이 너무 많으면 나무(木)가 숯이 되어버린다는 원리이다.
② 화(火)의 변화
화(火)가 도우는 토(土)가 지나치게 많으면 화(火)가 어두워진다.
예시)
戊 丁 戊 己 申 未 辰 未 |
해설)
계춘(季春)에 생(生)한 음화(陰火)가 토왕(土旺)하여 토다화암(土多火暗)의 명(命)이다. 즉, 화(火)는 토(土)가 자식이라 생(生)해야 하는데 토(土 : 지구)가 너무 많으면 불(火: 태양)이 어두워진다는 원리이다.
③ 토(土)의 변화
토(土)가 도우는 금(金)이 지나치게 많으면 흙(土)이 부스러진다.
예시)
庚 戊 甲 庚 申 寅 申 申 |
해설)
맹추(孟秋)에 생(生)한 양토(陽土)가 금왕(金旺)하여 금다토약(金多土弱)의 명(命)이다. 즉, 토(土)는 금(金)이 자식이라 생(生)해야 하는데 돌(金)이 너무 많으면 흙(土)이 부스러진다는 원리이다.
④ 금(金)의 변화
금(金)이 도우는 수(水)가 지나치게 많으면 금(金)이 물속에 잠겨 빛을 잃는다.
예시)
壬 辛 壬 壬 辰 巳 子 子 |
해설)
중동(仲冬)에 생(生)한 음금(陰金)이 수왕(水旺)하여 수다금침(水多金沈)의 명(命)이다. 즉, 금(金)은 태양을 봐야 빛이나 발전하는데 많은 물(水)속에 잠겨 빛을 내지 못한다는 원리이다.
⑤ 수(水)의 변화
수(水)가 도우는 목(木)이 지나치게 많으면 물(水)이 마른다.
예시)
甲 癸 戊 乙 寅 卯 寅 卯 |
해설)
맹춘(孟春)에 생(生)한 음수(陰水)가 목왕(木旺)하여 목다수축(木多水縮)의 명(命)이다. 즉, 물(水)은 나무가 자식이라 생(生)해야 하는데 나무(木)가 지나치게 많으면 물(水)이 축소된다는 원리이다.
3) 극 당하는 오행의 태과로 인한 변화
① 목(木)의 변화
목(木)은 토(土)를 극하지만 요소(土)가 지나치면 나무(木)가 꺾어진다.
예시)
戊 甲 己 戊 辰 戌 未 午 |
해설)
계하(季夏)에 생(生)한 양목(陽木)이 토왕(土旺)하여 토다목절(土多木折)의 명(命)이다. 즉, 목(木)이 토(土)를 극하지만 흙(土)에 영양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목(木)이 노랗게 죽어 꺾어진다는 원리이다.
② 화(火)의 변화
화(火)는 금(金)을 극하지만 금(金)이 지나치게 많으면 불(火)이 꺼져 버린다.
예시)
辛 丁 乙 庚 亥 酉 酉 申 |
해설)
중추(仲秋)에 생(生)한 음화(陰火)가 금왕(金旺)하여 금다화식(金多火熄)의 명(命)이다. 즉, 용광로(火)가 광석(金)을 녹이지만 광석(金)이 지나치게 많으면 용광로 불(火)이 꺼져버린다는 원리이다.
③ 토(土)의 변화
토(土)는 수(水)를 극하지만 물(水)이 지나치게 많으면 제방(土)이 무너진다.
예시)
癸 戊 壬 壬 亥 子 子 子 |
해설)
중동(仲冬)에 생(生)한 양토(陽土)가 수왕(水旺)하여 수다토류(水多土流)의 명(命)이다. 즉, 흙(土)이 물(水)길을 차단하지만 물(水)이 지나치게 많으면 제방(土)이 무너진다는 원리이다.
④ 금(金)의 변화
금(金)은 목(木)을 극하지만 나무(木)가 지나치게 많으면 톱(金)의 날이 빠진다.
예시)
戊 庚 丙 甲 寅 寅 寅 寅 |
해설)
맹춘(孟春)에 생(生)한 양금(陽金)이 목왕(木旺)하여 목다금결(木多金缺)의 명(命)이다. 즉, 금(金)이 목(木)을 극하지만 나무(木)가 지나치게 많으면 톱날(金)에 흠이 생긴다는 원리이다.
⑤ 수(水)의 변화
수(水)는 화(火)를 극하지만 불(火)이 지나치게 많으면 물(水)이 증발된다.
예시)
丁 癸 甲 丙 巳 巳 午 寅 |
해설)
중하(仲夏)에 생(生)한 음수(陰水)가 화왕(火旺)하여 화다수증(火多水烝)의 명(命)이다. 즉, 물(水)이 불(火)을 끄지만 불(火)길이 지나치면 물(水)이 제 역할을 못하고 오히려 증발하여 없어진다는 원리이다.
- 이전글오행의 오상 등 분류표 14.05.12
- 다음글십간십이지의 구성원리 14.05.12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