성명학 상 한자의 획수 계산법
페이지 정보

본문
▣ 성명학 상 한자의 획수 계산법
일반적인 한자 사전이나 컴퓨터 등 에 나오는 한자는 모두 필획 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성명학에서 사용하는 원획 법과 상이하여 작명 후 의아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 성명학 상 한자의 획수 계산법에 대하여 정립해 드리고자 합니다.
성명학상 한자의 획수 계산 법은 원획 법(原劃 法), 필획 법(筆劃 法), 곡획 법(曲劃 法)으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습니다.
1. 원획 법
강희자전康熙字典)의 원칙에 따라 원래부수 즉, 글자의 원형대로 획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역리자회 법, 역리법이라고도 합니다.
예시)
洋 : 10획(水의 원자부수 4획으로 계산)
玭 : 9획(玉의 원자부수 5획으로 계산)
抒 : 8획(手의 원자부수 4획으로 계산)
鄭 : 19획(邑의 원자부수 7획으로 계산)
性 : 9획(心의 원자부수 4획으로 계산)
2. 필획 법
실제 글을 쓰는 획수에 따른 부수 즉, 글을 쓸 때 필의 움직임을 근거로 해서 계산하는 방식으로 역상 법이라고도 합니다.
예시)
洋 : 9획(실제로 쓰는 획수대로 계산)
玭 : 8획(실제로 쓰는 획수대로 계산)
抒 : 7획(실제로 쓰는 획수대로 계산)
鄭 : 15획(실제로 쓰는 획수대로 계산)
性 : 8획(실제로 쓰는 획수대로 계산)
3. 곡획 법
붓의 구부러짐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으로 붓이 구부러질 때 마다 한 획이 추가되는 방식입니다.
예시)
乙 4획(원획법이나 필획법에서는 1획으로 계산)
여기에서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 있는데 변 등이 겹칠 때 그 글자의 해당부수만 원획 법으로 계산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.
예시)
渶 : 13획(부수인 水변만 원획 법인 원자부수 적용하고 ?변은 필획 법으로 계산)
성명학의 주요기법 중 하나인 주역상수 학의 수리오행에 한자의 획수는 길흉(吉凶)을 보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. 예나 지금이나 성명학자들은 수리를 계산할 때 한자의 원자부수인 원획 법을 취용하여 성명학을 발전시켜 왔습니다. 따라서 대부분의 성명학자들이 취용하고 있는 원획 법을 사용하는 것이 기(氣)의 논리 상 타당할 것입니다.
辛卯 孟冬 묵재 홍승보
?
남덕유산의 아름다운 눈꽃
- 이전글외국에서 출생 시 사주 세우는 방법 14.05.08
- 다음글한자의 자형(字形)에 대한 견해 11.11.1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